커뮤니티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개별원가계산 제약회사나 화학회사 같이 큰 회사는 개별원가 계산보다는 종합원가계산이 더 유리하고 선호한다. 하지만 중소기업처럼 작은 회사는 개별원가계산이 더 유리하다 작은 회사라고 해서 종합원가계산을 쓰는게 불리한것은 아니다. 1. 원가계산의 의의 ★ 원가계산은 크게 "투입원가의 집계과정"과 "산출물원가의 계산과정"으로 구분한다 투입원가의 집계 공정에 투입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및 제조간접원가를 재공품 계정에 집계하여 당기총제조원가를 파악하는 과정 ** 제조간접원가를 어떤 분배 방식으로 재공품 계정으로 대체하느냐가 원가 계산의 핵심이다. 산출물원가의 계산 당기제품제조원가와 기말재공품 원가는 기업 내부에서 제조를 통해 산출한 물량이다. 즉 단가가 확정되지 않았다. @ 여기서 세무사님이 Q와 P를 언급하시는데 Q는 Quantity(수량, 투입량) P는 Price(가격)을 말하는 걸로 알고 있다. ** 수불부에는 Q(물량)로 기록된다. ** 단가를 계산하기 위해 산출원가계산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 원가계산방법은 크게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이 있다. 개별원가계산 : 조선업, 기계제작업과 같이 여러 종류의 제품을 주문의 의해 생산하는 업종(주문생산기업)이 사용하는 원가계산방법 ** 500개 제품을 생산했다고 한다면 제품 모두가 다 다른 포지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훨씬 쉽다. 종합원가계산 정유업, 화학공업과 같이 한 종류의 제품을 대량으로 반복 생산하는 업종(연속대량생산기업)에서 사용하는 원가계산방법 2. 개별원가계산의 기본개념 ★ 개별원가계산으 계산절차 개별원가계산은 각 작업별로 독립적으로 원가를 집계하기 때문에 원가계산 대상이 되는 작업을 우선 설정해야 한다. ※ 작업별 집계방법 1단계 : 직접원가의 집계 작업별로 추적 가능한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를 먼저 집계하자 2단계 : 작업별로 추적할 수 없는 제조간접원가는 적절한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한다. ** 가장 어려운 과정이다. ** 꼼꼼하게 할 수록 정확한 원가를 뽑을 수 있다.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은 노동시간 또는 기계시간 이나 그외 방법으로 작업별로 배부한다. 1단계 : 직접원가의 집계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하는 기업은 작업별로 원가를 집계하는 "작업원가표(job cost sheet)"에 투입된 원가를 기록한다 **  A-104 작업은 절삭기계 2대를 7월8일부터 8월5일까지 생산한다 ** 직접재료비(#103) 20,000원이 투입되었다. ** 직접노무비(#205) 2시간 투입되어 50,000원 비용발생하였다. ** 노동시간(2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여 40,000원의 제조간접원가가배부되었다.(배부율 즉 단가가 @2,000 인데 왜 40,000원인지는 ^^ 궁금합니다.) ** A-104 작업은 Total 110,000원이라는 원가가 발생하였다. 2단계 :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제조간접원가를 작업에 배부하기 위한 배부기준으로는 주로 노동시간이나 기계시간 또는 직접노무원가를 사용한다. ** 노동시간의 2시간인 두 직원의 월급이 각 3백, 5백일경우 노동시간 4시간으로 배부하기에는 원가 계산이 불합리적이기에 직원 월급합계 5백만원을 배부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 "배부기준의 조업도"는 배부 기준이다. 배부기준은 노동시간, 기계시간, 직접노무원가 중 합리적인이라고 판단되는 것으로 결정하여 배부율 즉 @(단가)를 구하여 배부한다.
이상화 선생님이 어렵다고 피하기만 하면 영원히 도망갈뿐이라 하셨는데, 뇌지진나도 일단 부딪쳐 보겠습니다.   원가계산에는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이 있다. 개별은 여러종류의 제품을 주문받아 생산하는 경우 (자동차 같은) 종합은 하나의 제품을 대량으로 한꺼번에 생산하는 경우 (약품, 정유 등)   * 원가계산방식 1. 투입원가의 집계 : 공정에 투입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및 제조간접원가를 재공품 계정에 집계하여 당기총제조원가를 파악(별도의 원가계산 불필요) ​2. 산출물원가의 계산 : 당기제품제조원가와 기말재공품 원가는 기업 내부에서 제조를 통해 산출한 물량으로 단가는 미정 상태 (산출물의 단가를 확정하기 위해 원가계산과정 필요)   * 5~6강에서는 개별원가계산 : 원가계산 대상이 되는 작업을 설정 1. 직접원가의 집계 : 작업별로 추적 가능한 직업원가 (직접재료원가 + 직접노무원가) 파악 2. 제조간접원가의 집계 : 작업별로 추적할 수 없는 제조간접원가. 적절한 배부기준에 따라 개별작업에 배부 ​ * 개별원가계산의 계산절차 ​1 : 작업원가의 집계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하는 기업은 작업별로 "작업원가표(job cost sheet)"에 투입된 원가를 기록 ​2 :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배부기준은 주로 1)노동시간 2)기계시간 3)직업노무원가를 사용 배부기준 결정후 조업도로 나누어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결정 ​ * 개별원가계산 회계처리 원재료 계정에 사용된 재료원가가 작업원가표에 집계된 직접재료원가보다 크면 "제조간접원가"에 집계 ​ 3 : 부문별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각 제조부문의 작업환경이 서로 크게 다른 경우 부문별 간접원가 발생 방식도 달라짐 ex) 조립부문은 노동시간 기준, 용접부문은 기계시간 기준        
  2. 제조원가의 구분과 흐름  제조원가의 분류 : 제조원가란 노동력과 기계설비를 사용하여 원재료를 완성품으로 가공하는 제조 과정에서 소요되는 모든 원가(제조원가의 3요소)  직접재료원가 : 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재료의 원가로서 특정 제품에 추적할 수 있는 원가  직접노무원가 : 제품제조에 직접 참여하는 제조부분 작업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으로 특정 제품에 추적할 수 있는 원가  제조간접원가 :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제외한 모든 제조원가  ① 간접재료원가 : 윤활유, 세척제, 수선을 위한 부품과 같이 특정제품에 직접 추적할 수는 없지만, 제품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재료의 소비액 ** 유활유같이 어떤 제품에 얼만큼 뿌렸는지 기록했다가 추적할 수 있는 기록을 근거로 배부기준에 따라 원가계산을 할 수 있다. ② 간접노무원가 : 생산 감독자와 같이 특정제품의 생산과 고나련해서 직접 작업을 하지는 않지만 공장운영을 위해 필요한 노동자의 임금 ** 생산 감독자나 공장 경리담당자 등 직접적으로 생산에 참여하지 않는 직원의 임금을 어떤 제품에 배부를 해야하는지 합리적인 기준을 세우는 것이 제조원가의 핵심이다. ** 그렇지 못하는 제조업들이 이런 임금을 판매비와관리비로 처리 하면서 원가의 왜곡이 발생한다. ** 제조간접원가가 제조원가에 포함하지 않게 되면 제품의 판매금액을 결정하기 위해 확인하는 제품원가가 낮게 평가되어 결국 판매금액도 낮게 책정되게 된다. ③ 기타제조간접원가 : 공장건물이나 설비의 감가상각비, 보험료, 공장운영을 위해 발생하는 전력비 등이 이에 해당 ** 제조간접원가가 제조원가의 핵심이다. : 편의상 직접원가와 가공우너가로 다시 분류하기도 한다 ① 직접원가(기본원가) :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를 합한 것으로 특정제품에 추적할 수 있는 모든 원가를 합한 금액 ② 가공원가(전환원가) :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를 합한 것으로 직접 재료를 가공해서 완성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 제조원가의 집계 ① 제조과정의 흐름 ** 제조과장에서 투입되는 재료비, 미완성된 재공품, 미판매된 제품, 판매되어 발생한 매출원가등 각 항목별로 월이 바뀌거나 회계기간이 끝나면서 발생되는 기말이 구간이 바뀌면서 기초가 되는 과정들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과정이다.  ② 재고자산이 흐름 ** 1/1~1/31 기간 동안 생산되고 남은 재공품은 기말이 되고 2/1을 시작으로 기말재공품은 기초재공품이 되어 생산라인이 돌아가는 과정이 반복하게 된다. ** 합리적인 제조원가를 구해야지만 회사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남겼는지를 알 수 있다. ③ 제조원가의 흐름 제조원가는 발생한 시점에는 수익이 창출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재고자산 원가에 포함 제품이 판매되면 수익이 창출되었으므로 그 기간에 매출원가로 비용화해서 매출과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