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강사답변
0
·
1개의 답글
근로소득 중 비과세 항목
hj08066
· 2025-01-12
조회수 237
관련 강의 : 실수 0% 급여계산의 모든 것 / 박효주 노무사 [ 강의 바로가기 ]
수강 챕터 : 4. II. 기본급 계산 (2)
수강 챕터 : 4. II. 기본급 계산 (2)
근로소득 중 비과세 항목이 늘어나게 되면, 근로자에게는 좋은데 왜 사업자에게도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직으로 확인이 늦어져 답변도 늦어지게 된 점 죄송합니다.
근로소득 중 과세금액을 토대로 근로자와 사업주는 4대보험료를 반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따라서 근로소득 중 비과세 항목이 늘어나면 그만큼 줄어든 과세금액으로 4대보험료를 계산하게 됩니다.
즉, 300만원 월급에서 비과세가 20만원이면 280만원으로 과세하고, 비과세가 60만원이면 240만원을 기준으로 과세하게 됩니다.
4대보험료는 보통 요율로 계산하고 이 요율은 과세금액*보험별 요율(고용보험은 각각 0.9%)로 계산하므로 과세금액이 줄어들 수록 4대보험료도 줄어드는 것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