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개별원가계산 제약회사나 화학회사 같이 큰 회사는 개별원가 계산보다는 종합원가계산이 더 유리하고 선호한다. 하지만 중소기업처럼 작은 회사는 개별원가계산이 더 유리하다 작은 회사라고 해서 종합원가계산을 쓰는게 불리한것은 아니다. 1. 원가계산의 의의 ★ 원가계산은 크게 "투입원가의 집계과정"과 "산출물원가의 계산과정"으로 구분한다 투입원가의 집계 공정에 투입된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 및 제조간접원가를 재공품 계정에 집계하여 당기총제조원가를 파악하는 과정 ** 제조간접원가를 어떤 분배 방식으로 재공품 계정으로 대체하느냐가 원가 계산의 핵심이다. 산출물원가의 계산 당기제품제조원가와 기말재공품 원가는 기업 내부에서 제조를 통해 산출한 물량이다. 즉 단가가 확정되지 않았다. @ 여기서 세무사님이 Q와 P를 언급하시는데 Q는 Quantity(수량, 투입량) P는 Price(가격)을 말하는 걸로 알고 있다. ** 수불부에는 Q(물량)로 기록된다. ** 단가를 계산하기 위해 산출원가계산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 원가계산방법은 크게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이 있다. 개별원가계산 : 조선업, 기계제작업과 같이 여러 종류의 제품을 주문의 의해 생산하는 업종(주문생산기업)이 사용하는 원가계산방법 ** 500개 제품을 생산했다고 한다면 제품 모두가 다 다른 포지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훨씬 쉽다. 종합원가계산 정유업, 화학공업과 같이 한 종류의 제품을 대량으로 반복 생산하는 업종(연속대량생산기업)에서 사용하는 원가계산방법 2. 개별원가계산의 기본개념 ★ 개별원가계산으 계산절차 개별원가계산은 각 작업별로 독립적으로 원가를 집계하기 때문에 원가계산 대상이 되는 작업을 우선 설정해야 한다. ※ 작업별 집계방법 1단계 : 직접원가의 집계 작업별로 추적 가능한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를 먼저 집계하자 2단계 : 작업별로 추적할 수 없는 제조간접원가는 적절한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한다. ** 가장 어려운 과정이다. ** 꼼꼼하게 할 수록 정확한 원가를 뽑을 수 있다.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은 노동시간 또는 기계시간 이나 그외 방법으로 작업별로 배부한다. 1단계 : 직접원가의 집계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하는 기업은 작업별로 원가를 집계하는 "작업원가표(job cost sheet)"에 투입된 원가를 기록한다 **  A-104 작업은 절삭기계 2대를 7월8일부터 8월5일까지 생산한다 ** 직접재료비(#103) 20,000원이 투입되었다. ** 직접노무비(#205) 2시간 투입되어 50,000원 비용발생하였다. ** 노동시간(2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여 40,000원의 제조간접원가가배부되었다.(배부율 즉 단가가 @2,000 인데 왜 40,000원인지는 ^^ 궁금합니다.) ** A-104 작업은 Total 110,000원이라는 원가가 발생하였다. 2단계 :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제조간접원가를 작업에 배부하기 위한 배부기준으로는 주로 노동시간이나 기계시간 또는 직접노무원가를 사용한다. ** 노동시간의 2시간인 두 직원의 월급이 각 3백, 5백일경우 노동시간 4시간으로 배부하기에는 원가 계산이 불합리적이기에 직원 월급합계 5백만원을 배부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 "배부기준의 조업도"는 배부 기준이다. 배부기준은 노동시간, 기계시간, 직접노무원가 중 합리적인이라고 판단되는 것으로 결정하여 배부율 즉 @(단가)를 구하여 배부한다.
  <원가와 비용> 4. 원가계산의 흐름 비목별 계산 / 부문별 계산/ 제품별 계산   부문별 계산 - 원가를 어렵게 하는 부분 제조간접비 - 제조부문/보조부문   5. 원가의 흐름 자재창고 / 공장 / 제품창고 / 손익계산서   6. 제조원가명세서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당기총제조원가 +기초재공품재고액 -기말재공품재고액 =당기제품제조원가   <정책자금을 위한 재무비율분석> - 제조업은 항상 돈이 필요하다. 고액의 기계장치, 공장이 필요하며, 이는 항상 그들을 은행과 상생의 관계에 놓이게 만든다.   - 왜 누구는 받고 누구는 받지 못하나? 브로커의 힘인가? * 매출액의 증감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 이익이 많이 나는 회사가 좋을 것이다(이것은 내가 통제하기 어렵다) 자금>세금 더 중요한지 여부 알아야 함 (이익이 나야 하는데 감가상각을 열심히 하는 회사는 세무사의 직무유기) * 부채비율을 200%이내로 가지고 와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기차입금으로 불가능(증자이슈 발행) = 부채/자본 * 대표자의 신용도가 좋아야 한다(대표자 급여가 중요하다) * 가지급금이 있는 회사는 마이너스(리베이트 관리 중요하다)   - 재무제표 간 상관관계 및 분석단계 손익계산서 분석 - 수익성 체크 - 매출액순이익율, 매출액영업이익율, 매출총이익율, 총자산이익율, 자기자본이익율   재무사애표 분석 - 재무안정성 체크 - 유동비율(당좌비율),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비율   이익잉여금처분계싼서&자본변동표 분석 - 배당금규모 및 회사내 적립금, 자본 변동 ㄴ ㅐ역 확인   현금흐름표 분석 - 유동성 체크 - 영업현금흐름, 투자현금흐름, 재무현금흐름   주석 참고, 주식상황변동명세서 - 일반정보 파악  주주현황, 회계방침, 회계변경 여부등